#2 Validator Architecture Guide 2020. 8. 7. Written by 김천군 이전 포스트에서 언급한 것처럼 현재 많은 PoS 블록체인이 생겨나고 있고, 각각 표방하는 기술과 특성도 각양각색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현재 PoS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Cosmos-SDK 계열 블록체인을 기준으로 밸리데이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일반적으로 PoS 네트워크에 밸리데이터로 참여할때 간단하게 노드를 구성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노드를 구성하면, 아무런 네트워크 공격과 해킹이 없을 땐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네트워크는 항상 수많은 공격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고, 우리는 이러한 공격들로부터 밸리데이터 노드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합니다. 위 구성에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직접적으로 연결.. #1 Validator Architecture의 중요성 2020. 8. 7. Written by 김천군 최근 블록체인 업계의 트렌드가 PoW에서 PoS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다양한 기업과 개인 참여자들이 PoS 네트워크 생태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채굴을 위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PoW 방식과는 다르게 PoS 방식 하에서 밸리데이터는 각 블록체인별 가이드 문서에 따라, 비교적 손쉽게 노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입 장벽이 낮아진 것과 별개로, 밸리데이터가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채 노드를 운영한다면 안정성 측면에서 많은 위험에 노출되게 됩니다.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기여하기 위해, 또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노드 운영자는 다양한 측면에서 대비 해야 합니다. 그러나 노드를 운영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시스템을 구축한 밸리데이터는 생각보다 많지 않은 것이 .. 이전 1 다음